-
유현석, 연명흠(2021), 한국디자인학회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폼 팩터, 서비스, 기술 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Form factor, Service and Technology of Personal service robots 연구배경 및 목적 COVID-19로 인해 로봇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인지 변화와 전문서비스 로봇의 산업 성장에 힘입어 개인용 서비스 로봇 또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폼 팩터 연구와 로봇 서비스 및 로봇기술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로봇의 폼 팩터, 서비스, 로봇기술의 관계를 분석하고 로봇 제작 및 디자인에 참고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과 절차 폼 팩터의 분류와 로봇산업실태조사-보고서의 개인용 서비스 로봇 분류를 바탕으로 도출된 로봇 서비스 그리고 2018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_지능형 로봇에 작성된 가정용 로봇기술을 바탕으로 로봇의 폼 팩터, 서비스, 로봇기술을 분류 하였다. 이후 총 5가지의 서비스별 시장조사를 통해 각 6개씩 총 30개의 로봇의 폼 팩터와 로봇기술을 파악하였다. 이후 각 분류 기준표를 작성하여 로봇 서비스, 로봇기술, 로봇 폼 팩터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한계점 리서치와 관계 조사를 진행하며 개인용 로봇 서비스에서 3가지 주요 로봇 서비스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로는 청소 로봇은 현재 가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성공한 개인 서비스 로봇으로 서비스, 폼 팩터, 기술의 적절한 사용으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두 번째로는 감성 교감 서비스용 소셜 로봇이다. 로봇의 이질감과 거부감이 드는 폼 팩터보다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폼 팩터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인용 서비스 로봇의 폼 팩터는 제공될 서비스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로는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의 대부분은 주행형 폼팩터와 다양한 로봇기술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가정환경에서 자유로운 이동을 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위 3가지의 사례를 통해 개인 서비스 로봇은 각 서비스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물리적 폼 팩터와 사용자의 사용성에 직결되는 기술을 알맞게 고려하여 서비스 디자인과 폼팩터 디자인을 고안하여야 한다. 다만 본 연구는 개인용 서비스 로봇 사용자들의 로봇 사용의 형태에 따른 서비스와 사용 형태에 따른 폼 팩터 선호도 조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추후 사용자의 로봇 사용 형태에 따른 분석을 진행하며 서비스, 폼 팩터, 기술의 상관관계를 알맞게 대입하여 개인용 서비스 로봇 디자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
3
- 작성자문수현
- 작성일2022-01-05
- 354
- 동영상동영상
-
최서진, 연명흠 (2021) , 한국디자인학회 "인공지능 음성비서의 감정적 목소리에 대한 의인화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Personification Effect of the Emotional Voice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연구 배경 및 목적 인공지능 기술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속 초연결성, 초지능성, 예측 가능성을 기반으로 사람들의 사용자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공지능 서비스는 국방, 의료, 쇼핑, 교육 등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요소 기술이 결합된 인공지능 비서(artificial intelligent assistant)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제1원칙으로 두고 있다. 하지만 음성인식 서비스를 체험한 뒤,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저히 적다. 이러한 문제로 인공지능 음성인식 사용성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들은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비서에서 사람처럼 느껴질 수 있는 요소를 원한다는 연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본이 있는 롤플레잉 기법을 활용한 실험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음성인식 비서의 감정적 목소리의 의인화 요소를 사용자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인공지능 음성비서의 의인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로 선행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음성비서의 의인화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후 문제점 개선을 위해 음성파일 형태의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롤플레잉 기법 기반 실험을 하고 실험 관련 설문 및 사용자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 음성비서 의인화에 대한 사용성 평가, 개선사항을 파악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론 및 한계점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의인화된 인공지능 음성비서에 대한 사용성 평가, 개선사항을 파악했다. 인공지능 음성비서 디자인 시 감정이 들어간 목소리를 제공할 때 대화 맥락에 따라 감정의 정도를 세분화하여 제공하면 좋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후 음성비서 대화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대화 시나리오로 실험하지 못했고 검증 인원도 매우 작았다는 점이다. 향후 본 연구는 위 한계점을 보완하여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그림1] 연구방법 및 절차 [그림2] 실험 결과 [그림3] 주요 인사이트 결과
-
1
- 작성자문수현
- 작성일2022-01-04
- 282
- 동영상동영상
-
박준현, 연명흠(2021), 한국디자인학회 “메타버스 오피스 내 업무환경 및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 Environment and User Experience in Metaverse Office. 연구배경 및 목적 COVID-19의 확산으로 업무의 연속성 유지와 직원의 안전 등의 이유로 기업의 업무방식이 변화되었다. 원격 및 화상회의 등의 비대면 업무방식이 증가함에 따라, 비대면 업무 서비스의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업무의 변화에 따라 ‘줌(Zoom)’, ‘웹엑스(Webex)’ 등 화상회의 플랫폼 사용과‘개더타운(Gather Town)’, ‘오비스(Ovice)’와 같은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의 등장으로 업무환경에 대한 개선이 많이 이루어졌다고 하지만 비대면 업무는 조직에 대한 소속감 저하, 소통 및 업무 몰입 부족 등의 취약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라 비대면 업무의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전세계 많은 기업들은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메타버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지만 메타버스 오피스에 대한 사용성 또한 학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박서경(2017)은 사무직 근로자의 업무유형 중 기술 활용이 높고 상호작용이 낮은 집단에서 심리적 요소의 중요도가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메타버스 오피스 또한 기술 활용도가 높고 상호작용이 낮은 서비스로 기존 오피스의 업무방식과는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 오피스의 사용자 경험요소별 이슈를 도출하고, 해당 경험요소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메타버스 오피스의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요소와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업무환경의 물리적, 기술적, 심리적 요소와 해당 요소들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 중 가장 많은 기업과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개더타운’을 대상으로 업무유형과 핵심기능에 대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오피스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 참여자가 실제‘개더타운’의 전반적인 기능을 체험한 뒤 업무유형을 중심으로 사용자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유의미한 발화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으로 작성하여 경험요소별 인사이트를 발견하였다. 결론 및 한계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업무의 환경개선과 편의를 지원하는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 개선을 위해 선행연구와 사용자 조사를 통해 경험요소별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해당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비대면으로 진행된 인터뷰로 참여자들의 응답 난이도가 높았을 것으로 예상되며, 참여자들이 메타버스 오피스 체험을 통해 인터뷰를 진행한 것으로 인터뷰 응답의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오피스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및 FGI(Focus Group Interview), 설문을 통한 검증이 진행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메타버스 오피스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메타버스 오피스 ‘개더타운’ 기능 조사 [그림 2]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
-1
- 작성자문수현
- 작성일2022-01-03
- 246
- 동영상동영상
-
문수현, 윤장희, 임진섭, 김청아, 권효선, 연명흠(2021), 한국디자인학회 “QR코드를 통한 시각장애인용 점자 대체 서비스의 제안" Proposal of Braille Replacement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QR Code. 연구배경 및 목적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시각장애인 수는 25만 3천명으로 집 계 되었고, 현재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 장 애인편의시설 실태조사에 의하면 전체 편의시설 설치율 80.2% 에 비해 시각장애인 편의시설로 분류되는 ‘위생시설의 일반 사항’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있는 시 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들도 오류가 많고 정보가 잘못 표기 되어 있어 오히려 시각장애인들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가 발생 한다. 시각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과 같이 사회적 요구에 대한 평등 을 보장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 인 이동의 자유와 접근의 자유를 보장해 줄 수 있는 환경 개 선이 그들의 생계 유지와 더불어 중요한 문제임을 인식하고 현재 이들을 위한 시설의 확증이 요구된다.1) 이러한 문제점들 을 최소화 하기 위해 시각장애인들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지속 가능한 독립성 확보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과 절차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의 편의시설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인사이트들을 도출하기 위해 다 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데스크 리서치 를 통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대중교통과 대중교통 내 편의시설 들을 이용함으로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둘째, 인터뷰를 통하여 비장애인이 알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 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셋째, 데 스크 리서치와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된 유의미한 발화들로 어 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진행하여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결론 및 한계점 본 연구는 데스크리서치와 인터뷰를 통하여 시각장애인들이 점자로 얻는 정보가 한정적이고 있는 기존에 설치 되어 있는 점자들도 오류가 많아 시각장애인들이 정보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알아내었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주변 소음으로 인하여 음성 안내가 잘 안 들리는 문제와 후천 적 시각장애인들이 점자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조사를 통하 여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QR코드, NaviLens 어플이 있음을 발 견하였고, 이 서비스를 ESL과 결합시켜 시각장애인들이 점자 로 얻는 정보 오류와 후천적 시각장애인들의 점자 사용에 대 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서 비스를 제공할 경우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빠르게 변경되는 정 보들에 대한 습득이 빨라지고 점자를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 서도 한번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본 서비스가 실제로 구현하였을 때, QR코드 간의 최소 간격에 대한 문제와 실제 서비스를 검증하 는 단계를 진행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알아 내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다. 추후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하여 서비스 구현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
-3
- 작성자문수현
- 작성일2022-01-03
- 359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