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3급 정학예사 자격요건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참고)
![]() | 김연희 (주임교수) 부교수 02-910-6437 / 생활관 D동 403호 tofree1@kookmin.ac.kr |
성명 | 직위 | 취득 학위 | 연락처 |
---|---|---|---|
조경호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1 khcho@kookmin.ac.kr |
이석환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308 palee@kookmin.ac.kr |
하현상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5 hsha@kookmin.ac.kr |
김연희 | 부교수 | 예술학 박사 | 02-910-6437 tofree1@kookmin.ac.kr |
임영빈 | 조교수 |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 02-910-4436 yblym0207@kookmin.ac.kr |
유진룡 | 석좌교수 | 행정학 박사 | yoojr09@gmail.com |
김연수 | 겸임교수 | 문화예술학 박사 | ivette1@empas.com |
박현택 | 겸임교수 | 미술학 박사 | wanderman00@naver.com |
안상용 | 겸임교수 | 행정학 석사 | mudian@gmail.com |
장은정 | 겸임교수 | 고고미술사학 석사 | anarchi2@korea.kr |
본 전공 졸업생 및 재학생들은 국・공립 및 사립 박물관의 관장 및 학예연구사는 물론, 문화예술관련 공공기관인 문화재단 행정직과 문화예술교육기관의 문화예술교육사로 종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랜서로서 독립기획자, 민간문화예술기획사, 갤러리 큐레이터, 문화관련 기업체 등에도 진출하여 활발한 활동을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영은미술관, 꼭두박물관, 풀짚공예박물관, 경찰박물관, 고양어린이박물관, 중남미문화원, 은평구립미술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 경기도 박물관,인천시립박물관, 대림미술관 디뮤지엄, 한국박물관협회, 경기도박물관협회 등
입학안내 참고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공통필수
|
2
|
행정과 정책
|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 Policy
|
2
|
사회현상과 행정통계
|
Social Phenomenon & Statistics for Public Administration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전공선택 | 2 | 건축과예술-전시와공간 | Architecture and Art-Exhibition and space |
2 | 공공미술론 | Public Art Exhibition Planning | |
2 | 국제전시기획과 경영론 Ⅰ | International Exhibition | |
2 | 국제전시기획과 경영론 Ⅱ | International Exhibition | |
2 | 디지털 시대의 예술정보 시스템 | Planning & Management Art and Technology | |
2 | 문화예술경영학 | Culture and Art Management | |
2 | 문화예술 정책론 | Culture and Art Policy | |
2 | 문화예술 프로젝트 현장실습 | Field Work in Arts Project | |
2 | 문화정책과 문화복지 | Culture Policy and Culture Welfare | |
2 | 미술관·박물관 경영론 | Museum Management | |
2 | 미술관·박물관 교육론 | Theory and Museum of Practice Education | |
2 | 미술시장과 경매 | Topics in Art market and Art auction | |
2 | 미술시장의 이해 | Study on Art Market | |
2 | 미술품감정보존관리 | Topics in Maintenance of Collection | |
2 | 미술관·박물관 경영 논문 세미나 | Dissertation Research in Museum Management Studies | |
2 | 미술관·박물관 전시기획론 | Museum Exhibition Planning | |
2 | 미술관·박물관 홍보론 | Museum Marketing PR | |
2 | 미술관·박물관학 | Museum Studies: History & Philosophy of Museums | |
2 | 사이버 박물관 연구 | Cyber Museum Research | |
2 | 소장품 정보관리 과학 | Collection Information Management | |
2 | 전시공연 융합 프로젝트 | Special Topics in Integrated Perfomance & Exhibition Design Project | |
2 | 전시기획 코디네이션 연구 | Exhibition Design Coordination | |
2 | 전시기획 세미나 | Seminar in Exhibition Planning | |
2 | 전시기획 연구조사방법론 | Exhibition Planning Research Methodology | |
2 | 전시기획 특론 | Special Issues in Exhibition Design Aesthetics | |
2 | 현대미술사와 큐레이터십 | Modern Art History and Curator Crecue | |
2 | 현대작가·작품연구 | Contemporary Artist Research |
공공부문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공익의 가치와 이념, 조직관리, 인사행정, 재무행정, 분야별 정책의 이론 및 실제를 지식정보화사회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공공부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적 기획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전략이 논의된다.
창의적 기획과 분석능력을 갖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미래예측기법, 통계적 방법론, 그리고 이를 활용한 조사 설계에 이르기 까지 종합적인 분석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이론의 습득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습이 이루어진다.
건축적 해석을 통한 전시 공간의 연구와 사례연구
다원예술 즉 축제, 공연 및 전시에 관한 전반적인 기획과 리더쉽을 학습하고 아트퍼니쳐, 공공 미술프로젝트, 도시디자인 등과 같은 공공 미술을 연구한다.
글로벌 관점에서 바라보는 미술관 박물관 전시기획경영에 관한 발표 논의 한다.
글로벌 관점에서 바라보는 미술관 박물관 전시기획경영에 관한 발표 논의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변화인 뮤지엄의 소통 방법과 진정한 의미에서의 미래를 준비하는 테크놀러지의 활용과 경영을 연구 활동한다.
문화예술단체들의 전략적 포지셔닝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문화예술기획의 미래지향적인 실무 능력으로 관람객들의 이해와 폭넓은 응용력과 창조적 문화경영 사고를 확장 한다.
저작권법과 계약 등 세법 세금 혜택 등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필요한 법률,행정위주로 한 수업을 진행한다. (ex-디지털 다매체 환경, 문화의 산업화 시대에 인간의 지적 창조물인 지적재산권, 그 중 문화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저작권법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현대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때론 저작물의 생산자로서, 때론 소비자로서 저작권과 밀접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과목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법률인 저작권법을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저작물의 이용계약에 대해서도 학습하고자 한다)
문화예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응용 능력을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경험을 가지고 프로젝트 실무방안에 적용하고 해결 방안을 현장에서 학습 한다.
사회에서 복지 정책 및 문화예술정책의 개념을 파악하고 행정과 실무간의 현실적 적용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화복지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본다. 또한 세계 각국의 문화복지 정책 현황을 파악하여 한국문화예술정책에 대한 비평과 분석을 통하여 문화예술 복지정책의 실제를 이해 한다.
박물관의 경영전략, 관람제도와 관람료, 관련 문화기구, 박물관들 협력체계 운영과 실무의 의미와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한다.
예술과 인문학을 응용하여 박물관 미술관 교육전략을 통한 미래 인재를 트레이닝하는 프로그램 개발 중심으로 박물관 미술관교육담당자의 역할과 업무, 박물관 교육의 성과와 기대 효과, 박물관 미술관 교육 개발과 교육의 유형과 운영 방법, 박물관 미술관 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인식을 연계하는 교육과 실행방안을 살펴본다.
동시대 미술이론과 최근 국내외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들과 작가들을 배출하는 화랑, 미술관의 시스템 및 아트딜러들을 살펴본다. 스타작가들의 작품의 특징과 평가, 시장성, 아트딜러와의 관계를 통하여 최근의 현대 미술동향을 이해하고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미술품 유통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살펴보고 현재 미술 시장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찾는 과정을 통해 세계 미술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예술작품의 보존과 복원, 감정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미술작품의 재료와 특성부터 시작하여, 효과적인 미술품 보존, 관리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감정 이론과 수집 이론 및 국내외 작품의 진위판단이 사례를 통하여 미술품 감정의 현황을 학습한다.
논문 제출 학기의 학생은 세미나 수업시간을 통해 본인의 학위 청구 논문연구 결과를 석사과정은 20분 정도, 박사과정은 50분 정도 발표한다.
미술과 경영이 어떻게 접목되어 오늘날 문화예술영역이 발전되어왔는가를 학습하고, 구체적으로 국내외 문화예술기관 (박물관, 미술관, 갤러리, 아트센터)의 역사, 발달, 운영이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관리프로그램 연구를 바탕으로 마케팅 연구를 위한 박물관 교육 담당자, 소장품 관리자, 정보시스템 개발자, 마케팅 디렉터 위한 전문 분야 교육을 통해 효과적인 PR 마케팅관리 방향을 제시한다.
박물관의 정의에서부터 박물관의 분류, 소장 유물의 관리와 보존, 박물관의 교육 기능, 학예사와 에듀케이터 박물관의 관장들, 수석 큐레이터 대한 실제 인터뷰 내용의 케이스를 다룬다.
창의적인 빅 아이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새로운 환경으로 예술가의 생각과 문화단체의 표현 형성에 깊이를 더해줄 것이며 예술가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온라인 문화를 감상하는 온라인서비스와 융합기술의 응용 프로젝트 사례를 연구 한다.
소장품 관리의 방법을 과학적 시스템에 의한 통합적인 시스템 구축이라는 현대화된 개념에 소장품 기록관리, 소장품관리정책, 전산화된 정보관리 시스템, 소장품의 물리적 보호의 측면들로, 과거 개념을 앞선 통합적인 소장품 정보관리 과학을 논의한다.
미술문화 관련 사업 (전시, 이벤트, 문화예술 정책, 프로젝트, 프로그램 개발 등등)진행과정 및 공연, 바디아트, 제품, 패션, 시각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 영역 간의 협력에 관한 융합 전시디자인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전시기획 실무프로세스 계획으로서의 코디네이션의 개념과 원리를 연구하고 실습한다.
전시기획의 주제와 관련하여 선행연구 및 문헌을 중심으로 발표·논의한다
근본적으로 근대적 전시란 무엇인가? 전시로 다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주제와 그 목적이란 무엇인가? 전시기획실무프로세스와 기획/운영 시 생각할 점은 무엇인가를 배우고, 실제로 발표되어지고 있는 공공미술, 미디어아트, 온라인 미술전시 프로젝트, 국제교류에 대한 실제 전시성과물을 카메라현장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하여 전시기획에 대한 개념과 기초적인 업무를 파악하는 것이 학습 목표이다.
철학적, 문화적 이론을 배경으로 한 미적 개념을 연구하고 창의적인 전시 기획과 활동을 위한 이론적 학습을 스터디 한다.
현대 미술을 기반으로 전시기획에서부터 작품의 수집과 보관, 교육, 홍보, 조사연구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의 핵심인력인 큐레이터의 역할과 업무를 살펴봄으로써 미술관의 저변확대 및 큐레이터 지망생들이 꼭 알아야 할 사항들을 학습한다.
‘작가론'이라는 커다란 범주 안에서 현대미술 흐름, 미술시장 동향에 초점으로 작가와 작품을 분석 방법론을 연구 비평한다.